- 교육목적
- 본 전공은 다양한 학습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교수-학습의 이론을 적용하여 학습을 촉진하고 다양한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며 수행을 개선하기 위해 과정과 자원을 개발하고, 활용하고, 관리하는 이론과 실제를 갖춘 교육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목표
- 학습자의 발달 특성과 개인차,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이해를 갖춘다.
- 다양한 교수-학습이론을 토대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다.
- 교수-학습이론과 체제적 접근을 토대로 학습목표 달성을 위한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수업을 위해 다양한 매체를 개발하고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다.
- 교수자와 학습자에 적합한 교수-학습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교수진
성명 | 전공분야 | 연락처 |
---|---|---|
전공책임교수 엄우용 | 교육공학/평생교육/HRD | 580-5962 |
정현희 | 학교상담 | 580-5961 |
최명숙 | 교육공학/교육방법 | 580-5963 |
박찬호 | 교육통계/교육평가 | 580-5964 |
한천우 | 교육심리 | 580-5327 |
교육과정
과목번호 | 과목명 | 학점 | 구분 |
---|---|---|---|
B1759 | 교육공학의이론적기초 | 2 | |
B1760 | 수업설계이론과모형 | 2 | |
B1761 | 수업메시지설계 | 2 | |
B1762 | 교육프로그램평가 | 2 | |
B1763 | 첨단테크놀로지와교육 | 2 | |
B1764 | 교육공학의동향과이슈 | 2 | |
B1765 | e-learning 설계의이론과실제 | 2 | |
B1766 | 멀티미디어와교육 | 2 | |
B1767 | 포트폴리오개발및활용 | 2 | |
B1768 | 미래교육환경연구 | 2 | |
B1769 | 소셜미디어와학습 | 2 | |
B1770 | 학습동기전략설계론 | 2 | |
B1771 | 원격교육세미나 | 2 | |
B1772 | 교수학습전략세미나 | 2 | |
B1773 | 수업및학습컨설팅 | 2 | |
B1774 | 최신교수방법연구 | 2 | |
B1775 | 구성주의학습환경설계 | 2 | |
B1776 | 학습자와학습이론의이해 | 2 | |
B1777 | 학습자발달이론과적용 | 2 | |
B1778 | 학습동기이론 | 2 | |
B1779 | 지능과창의성 | 2 | |
B1780 | 성격심리세미나 | 2 | |
B1781 | 학습자행동수정 | 2 | |
B1782 | 교육과학습의인지심리학적접근 | 2 | |
B1783 | 교육연구방법세미나 | 2 | |
B1784 | 교육심리학연구 | 2 | |
B1785 | 뇌기반학습이론세미나 | 2 | |
B1786 | 자기주도학습과학습코칭세미나 | 2 | |
B1787 | 교육과학습의인지심리학접근 | 2 |
교과목 개요
-
- 교육공학의이론적기초 (Theoritical Foundations of Educational Technology)
- 교육공학의 기저를 이루는 다양한 이론적 토대를 탐구한다.
-
- 수업설계이론과모형 (Theories and Models of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 체제적 접근 방법에 의하여 수업체제를 설계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서 수업체제설계이론을 탐색하고 구체적인 수업체제설계 모형에 근거하여 수업을 설계한다.
-
- 수업메시지설계 (Instructional Message Design)
- 인간의 지각, 기억 및 학습이론, 커뮤니케이션 이론, 그리고 디자인 이론을 토대로 학습자와 수업자료간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위한 메시지 설계 방안을 탐색한다.
-
- 교육프로그램평가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평가하기 위한 이론과 모형을 탐색하고 실제 사례에의 적용을 통해 교육프로그램을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한다.
-
- 첨단테크놀로지와교육 (Emerging Technology in Education)
-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최신 테크놀로지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실제 교수학습 현장에의 적용 방안을 탐구한다.
-
- 교육공학의동향과이슈 (Trends and Issues in Educational Technology)
- 교육공학의 최신 동향과 이슈를 탐색함으로써 사회 환경의 변화와 교육현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
-
- e-learning 설계의이론과실제 (Multimedia for Education)
- 효과적인 이러닝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분석, 설계, 개발, 평가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배운다.
-
- 멀티미디어와교육 (Theories and Models in Instructional Design)
-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가능성 및 다양한 활용방안을 모색한다. 또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학습환경의 구성을 위한 멀티미디어 학습환경의 설계원리를 탐색한다.
-
- 포트폴리오개발및활용 (Developing and Using Portfolio)
- 티칭포트폴리오 및 학습포트폴리오의 개발 원리를 탐색하고, 이의 활용 방안을 모색한다.
-
- 미래교육환경연구 (Research on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
- 급변하는 환경 변화에 따른 교육환경의 구성 방향을 탐색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 구성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과 전략을 탐색한다.
-
- 소셜미디어와학습 (Social Media and Learning)
- 다양한 소셜미디어의 특성을 탐색하고 교수학습과정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
- 학습동기전략설계론 (Design of Learning Motivation Strategies)
- 교수학습과정에서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고 유지하기 위한 체계적인 전략을 탐색하고 실제 상황에 적용한다.
-
- 원격교육세미나 (Seminar on Distance Learning)
-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시공간을 초월한 학습 환경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강좌는 원격교육에 대한 제반 이론 및 모형을 탐색하고, 우리나라에서의 원격교육 현황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한다.
-
- 교수학습전략세미나 (Seminar o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 교수과정과 학습과정의 배경이 되는 다양한 이론을 연구하고 교수학습 상황에서 실제 적용 가능한 전략을 탐색한다.
-
- 수업및학습컨설팅 (Teaching and Learning Consulting)
- 교수자의 수업력과 학습자의 학습력을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이론과 실제를 탐색하고, 이를 실제 상황에 적용하여 타인의 수업력과 학습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과 방법을 학습한다.
-
- 최신교수방법연구 (Study on Emerging Teaching Methods)
- 다양한 교수학습 상황에서 적용 가능한 교수방법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탐색한다. 특히 다양한 심리학적 이론에 근거한 교수방법을 탐색함으로써 실제 교수학습 상황에서 가장 적합한 교수방법을 선정,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 구성주의학습환경설계 (Designing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 수업체제설계이론을 토대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과정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향상시기 위한 체계적이고 체제적인 설계 방안을 탐색한다.
-
- 학습자와학습이론의이해 (Understanding of Learners and Learning Theories)
- 학습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 (행동주의, 인지주의, 사회학습, 구성주의 등)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학습자를 탐구한다.
-
- 학습자발달이론과적용 (Human Developmental Theory and Application)
- 학습자 발달의 이론들과 각 발달 단계의 인지적, 정의적 및 신체적 특징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최적화된 교육방법의 원리를 탐색한다.
-
- 학습동기이론 (Theories of Learning Motivation)
- 학습 현장에서 중요시 되는 동기 이론들을 탐색하고, 어떻게 학습자로 하여금 내재적 동기를 가지게 할지 고찰한다.
-
- 지능과창의성 (Intelligence and Creativity)
- 인간의 지능과 창의성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과 최신연구동향을 고찰하고 지능의 측정과 교육현장에서의 함의점 등에 관해 논의한다.
-
- 성격심리세미나 (Seminar on Personality Psychology)
- 인간의 성격 구조 전반에 걸친 여러 이론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차를 탐구하며 효과적인 학습이 일어날 수 있는 환경 조성 방안을 마련한다.
-
- 학습자행동수정 (Modification of Learner’s Behaviors)
- 학습자들의 다양한 문제행동 치료를 위해 행동주의이론에 기초한 행동수정 방법의 구체적 기술과 전략을 습득한다.
-
- 교육과학습의인지심리학적접근 (Perspective of Cognitive Psychology on Teaching and Learning)
- 인간의 학습을 인지심리학적 관점으로 탐구하고, 학습자의 다양한 인지적 사고 능력 및 방식 뿐만 아니라 개인차를 이해하고 교육에 반영한다.
-
- 교육연구방법세미나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al Studies)
- 국내외 교육학 연구물들을 중심으로 교육심리 및 교육공학 분야의 연구방법에 대한 접근 방법과 실제를 검토하고 바람직한 연구 방법론을 탐구한다.
-
- 교육심리학연구 (Studies on Educational Psychology)
- 교육현장에서 당면하는 여러 문제들을 심리학적 원리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해결책을 탐색한다.
-
- 뇌기반학습이론세미나 (Seminar on Theories and Practices of Brain-based Learning)
- 뇌-과학 이론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학습자 분석 및 학습과정 설계의 원리를 분석하고 이해한다.
-
- 자기주도학습과학습코칭세미나 (Seminar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Coaching)
- 자기주도 학습의 개념과 필요 및 강점 등을 연구 하고, 이를 현실화 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조건들을 탐구하며 바람직한 학습 코칭법을 탐구한다.
-
- 교육과학습의인지심리학접근 (Perspective of Cognitive Psychology on Teaching and Learning)
- 인간의 학습을 인지심리학적 관점으로 탐구하고, 학습자의 다양한 인지적 사고 능력 및 방식 뿐만 아니라 개인차를 이해하고 교육에 반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