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목적
- 우리 사회의 주역이자 독립된 인격체인 청소년의 온전한 성장을 돕기 위한 청소년 상담 전문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특히, 학교 이외의 아동 및 청소년 상담관련기관에서 종사하고 있는 상담인력의 전문성 제고를 목적으로 한다.
교육목표
- 아동 및 청소년과 이들을 둘러싼 환경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토대로 이들의 문제행동의 교정 및 예방, 나아가 정신건강과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한다.
- 아동 및 청소년들을 보다 효율적이고 심층적으로 상담할 수 있는 청소년전문상담자로서의 능력과 자질을 함양한다.
- 아동 및 청소년의 개인 및 집단적 특성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이들을 위한 상담영역의 지도자로서 창의적ㆍ선구적 역할을 다 할 수 있는 기예를 함양한다.
교수진
성명 | 전공분야 | 연락처 |
---|---|---|
전공책임교수 양지웅 | 청소년발달, 학업상담 | 580-5631 |
정현희 | 상담이론, 심리평가 | 580-5961 |
조수현 | 학습상담 | 580-5960 |
안성식 | 진로상담 | 580-6591 |
고미순(겸임) | 위기상담, 상담현장이해 |
교육과정
과목번호 | 과목명 | 학점 | 비고 |
---|---|---|---|
B1633 | 청소년이해론 | 2학점 | 전공기초 |
B1632 | 청소년수련활동론 | ||
B1612 | 청소년발달심리 | ||
B1631 | 청소년집단상담의 기초 | ||
B1630 | 청소년심리측정 및 평가 | ||
B1613 | 상담이론의 기초 | ||
B1629 | 학습이론 | ||
B1628 | 청소년상담의 이론과 실제 | 전공 핵심 | |
B1627 | 상담연구방법론의 기초 | ||
B1626 | 청소년심리측정 평가의 활용 | ||
B1625 | 청소년이상심리 | ||
B1624 | 청소년진로상담 | ||
B1623 | 청소년집단상담 | ||
B1622 | 청소년가족상담 | ||
B1614 | 청소년학업상담 | ||
B1621 | 청소년상담자교육 및 사례지도 | 전공심화 | |
B1620 | 청소년관련법과 행정 | ||
B1619 | 상담연구방법론의 실제 | ||
B1618 | 청소년비행상담 | ||
B1617 | 청소년성상담 | ||
B1616 | 청소년약물상담 | ||
B1615 | 청소년위기상담 | ||
B1801 | 청소년인지정서행동치료 | ||
B1802 | 사이버상담의실제 |
교과목 개요
-
- 청소년이해론 (Understanding Adolescents)
- 본 강좌는 청소년의 일반적인 내적 특성 뿐 아니라 주변 환경, 나아가 청소년의 문화 등 청소년과 관련되는 정보의 핵심적 내용을 검토하여 청소년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 청소년수련활동론 (Understanding Adolescent Training and Activities)
- 본 강좌는 청소년의 수련활동, 즉 청소년이 생활권 또는 자연권에서 심신단련, 자질배양, 취미개발, 정서함양과 사회봉사로써 배움을 실천하는 체험활동과 관련하는 제반 정보 및 방법을 검토하여 청소년 수련활동의 이론적 기초를 갖추도록 안내한다.
-
- 청소년발달심리 (Developmental Psychology of Adolescents)
- 본 강좌는 전 생애과정에서 특히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성에 관하여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청소년의 성장 발달 단계에 따른 신체, 정신, 인지, 정서, 사회성 발달의 특성 및 과업을 이해하며, 이를 청소년교육 및 상담에 활용할 능력을 기른다.
-
- 청소년집단상담의 기초 (Introduction to Adolescent Group Counseling)
- 본 강좌에서는 집단상담의 이론적 기초를 다룬다. 집단상담의 의미와 목적, 유형, 집단역동의 과정, 집단실시에 관한 기본적 조건 등에 관하여 탐색하며, 다양한 이론적 접근에 대하여 검토한다. 집단 참여를 통하여 집단상담의 기초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익힌다.
-
- 청소년심리측정 및 평가 (Psychological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Adolescents)
- 본 강좌는 학교를 비롯한 다양한 장면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각종 심리검사에 관한 기초이론과 실제를 학습하여, 학생지도 및 상담에서 학생들이나 내담자들이 현재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규정하고 문제의 해결과 의사결정을 돕는데 필요한 검사를 선택, 실시, 채점, 해석할 수 있는 전문가로서의 기초적 능력을 습득한다.
-
- 상담이론의 기초 (Introduction to Counseling Theories)
- 본 강좌에서는 다양한 상담이론의 기본적인 철학과 가정, 인간행동에 관한 관점과 부적응행동에 대한 이해, 부적응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상담전략 및 기법 등에 관한 기초적 설명에 관하여 검토한다.
-
- 학습이론 (Theories of Learning)
- 본 강좌에서는 인간의 학습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관하여 검토한다. 다양한 이론적 접근을 검토하며 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위한 개입전략 등에 관하여 탐색하고 실습한다. 그리고 학습증진을 위한 학습동기의 증진방안과 전략을 검토한다.
-
- 청소년상담의 이론과 실제 (Theories and Practices of Adolescent Counseling)
- 본 강좌는 청소년 상담자로서의 자질을 함양하기 위하여 청소년에게 적합한 상담의 제이론과 그에 따른 기법 등을 학습한다. 또한 사례를 통하여 이론의 실제적인 적용과 문제별 접근방식을 탐구해 나간다.
-
- 상담연구방법론의 기초 (Introduction to Counseling Research Methodology)
- 본 강좌는 상담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연구방법에 관하여 탐색하고 관련되는 연구사례를 검토 분석한다. 연구자의 관심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이 문제에 대한 답을 가장 적절하게 할 수 있는 연구방법론을 찾아 연구계획서를 작성한다.
-
- 청소년심리측정평가의 활용(Practices of Psychological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Adolescents)
- 본 강좌에서는 청소년의 심리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평가하는 역량을 육성한다. 청소년을 보다 효율적으로 돕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심리상태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작업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이를 위한 다양한 검사의 목적과 이론적 배경, 그리고 검사의 적절한 활용법에 대하여 탐구하고 익힌다.
-
- 청소년이상심리 (Abnormal Psychology of Adolescents)
- 본 강좌는 청소년 이상심리의 분류체계, 원인, 치료방법 등을 이해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심리와 성격을 가진 청소년 내담자를 이해하고 다룰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목적이 있다. 인간의 이상행동 또는 심리적 장애의 발달과 관련된 이론을 고찰하고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이상행동의 정의와 분류방법에 대하여 이해한다.
-
- 청소년진로상담 (Career Counseling for Adolescents)
- 본 강좌는 진로와 개인의 삶과의 관계, 진로상담의 개념, 목적 및 원리, 그리고 다양한 진로발달 이론 등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그것이 내담자 진로상담 과정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탐구함으로써 진로상담자로서 필요한 인지적, 기술적 능력과 함께 올바른 태도를 습득한다.
-
- 청소년집단상담 (Group Counseling for Adolescents)
- 본 강좌는 집단상담의 여러 모형들을 비교, 분석하고 각 이론에 근거한 집단상담 기법을 이해하며, 집단상담의 역동과 과정 및 방법을 통합적으로 이해, 적용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이론적, 실제적인 집단상담 능력을 가지도록 한다.
-
- 청소년가족상담 (Family Counseling for Adolescents)
- 본 강좌에서는 청소년을 돕기 위하여 가족을 하나의 체제로 보고 그 체제 속의 청소년이 가족 구성원과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지를 다양한 이론적 접근을 토대로 탐색하고 검토한다. 나아가 가족의 새로운 행동 패턴을 만들어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 익힌다. 결과적으로 청소년의 행동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족의 구조변화를 찾는 방법과 전략을 습득한다.
-
- 청소년학업상담 (Academic Counseling for Adolescents)
- 본 강좌는 청소년의 학업상담에 관한 이론과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의 학업을 촉진하기 위한 조력활동의 이론적 기초를 검토하고 다양한 효율적인 학업촉진 전략에 대하여 검토하고 실습한다.
-
- 청소년상담자교육 및 사례지도 (Education and Supervision for Adolescent Counselors)
- 본 강좌는 청소년 상담자의 양성이나 역량 제고를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관하여 다룬다. 청소년상담자의 전문적 자질과 인성적 자질의 의미를 검토하고 이러한 자질향상을 위한 개입활동의 내용과 방법을 학문적 차원에서 접근한다. 다양한 이론적 배경에 기초하는 전략 및 실천방안에 검토하고 실습한다.
-
- 청소년관련법과 행정 (Laws and Policies for Adolescents)
- 본 강좌는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복지 증진과 관련되는 법과 행정에 관하여 검토한다. 청소년기본법 등 청소년 관계법령들의 내용을 검토하고 이를 실행해 가는 과정에 관하여 탐구한다. 또한 법규와 행정의 관계를 파악하여 청소년의 건전한 육성과 지도를 위한 행정의 목적, 과정, 실태 등을 학습하고 나아가 발전방향을 탐색한다.
-
- 상담연구방법론의 실제 (Practices of Counseling Research Methodology)
- 본 강좌에서는 상담 관련 연구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대한 과학적인 답을 찾아가는 연습을 한다. 상담의 효율성 증진을 위하여 관련되는 제반 변인들에 대하여 검토하고 이들 변인들을 어떻게 다루면서 상담을 진행해야 하는지에 관하여 그 해답을 찾아갈 수 있는 과학적 역량의 육성을 그 목적으로 한다.
-
- 청소년비행상담 (Counseling for Delinquent Adolescents )
- 본 강좌에서는 청소년 비행의 의미와 유형, 원인 등에 관하여 검토하고 청소년의 비행을 교정하거나 예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상담전략 및 방법에 관하여 탐색한다. 다양한 이론적 접근을 검토하며 실제 청소년의 비행에 적용하여 평가하고 보다 효율적인 상담기법을 도출한다.
-
- 청소년성상담 (Counseling for Adolescents with Sexual Problems)
- 본 강좌에서는 청소년의 성 문제에 대한 상담접근 방법을 검토하고 익힌다. 성과 관련된 주요 개념, 성에 관한 생애 발달적 측면에서의 조망, 성 문제와 실태 등에 관하여 검토한다. 청소년 시기에 경험하는 성문제를 검토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대처해 갈 수 있는 전략, 성상담의 실제 등에 관하여 검토한다.
-
- 청소년약물상담 (Counseling for Adolescents with Drug Problems)
- 본 강좌는 청소년의 약물남용 행동의 현상과 효율적인 상담적 개입활동에 관하여 다룬다. 약물남용에 관한 기본적 개념과 실태, 약물남용행동의 이해를 위한 이론적 접근, 약물남용 청소년의 진단, 그리고 약물남용 청소년의 행동변화를 위한 다양한 상담방법에 관하여 검토하고 연습한다. 약물남용 청소년의 가족을 위한 개입활동 및 교육에 관하여 검토한다.
-
- 청소년위기상담 (Counseling for Adolescents in Crisis)
- 본 강좌에서는 청소년을 돕고자 하는 상담자가 익혀 두어야 할 위기상담의 원리와 과정 그리고 주요 기법을 다룬다. 청소년이 경험하는 위기 상황과 그 선행조건, 청소년에게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에 대하여 검토하고 위기 상황에 놓인 청소년을 효율적으로 돕기 위한 상담과정과 개입기술 및 전략 등에 관하여 검토한다.
-
- 청소년인지정서행동치료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Therapy for Adolescents)
- 상담 및 심리치료 분야의 전문가에 의해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인지정서행동 치료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하여 청소년상담자로서의 전문역량을 함양하는 데 목적을 둠
-
- 사이버상담의실제 (Practices of Cyber Counseling)
- 사이버 상담을 중심으로 한 비대면 상담이 사회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비대면 상담의 유형, 특징, 방법을 학습하여 비대면 상담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 목적을 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