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목적
- 체육교육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와 체육학 분야의 전문적인 능력 및 도덕성을 갖춘 유능한 체육지도자를 양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육목표
- 스포츠 과학화를 근거로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유능한 체육지도자를 양성한다.
- 스포츠 과학화와 체육교육의 이론과 지식을 체육현장에서 유효하게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 기존의 논리와 방법을 최신 방법으로 검증, 연구하여 후진들의 체육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교수진
성명 | 전공분야 | 연락처 |
---|---|---|
전공책임교수 조창모 | 운동생리학 | 580-5517 |
박상범 | 스포츠심리학 | 580-5516 |
박영호 | 사회체육 | 580-5258 |
송형석 | 체육철학 | 580-5941 |
이선장 | 스포츠영양학 | 580-5529 |
천우광 | 스포츠 의학 | 580-5519 |
안나영 | 재활스포츠 | 580-5563 |
신홍범 | 스포츠마케팅 | 580-5561 |
최성곤 | 교과교육학 | 580-5942 |
교육과정
구분 | 과목번호 | 과목명 | 학점 | 필수 (2009학년도 2학기 입학부터 적용) |
기본이수과목 | ||
---|---|---|---|---|---|---|---|
교과 교육 |
교과 내용 |
2008학년도 입학자까지 |
2009학년도 입학자부터 |
||||
○ | B0336 | 스포츠사회학특강 | 2 | ○ | ○ | ||
○ | B0346 | 발육발달론특강 | 2 | ||||
○ | B0837 | 체육의심리적지도법 | 2 | ○ | ○ | ||
○ | B0838 | 체육의운동역학적평가 | 2 | ○ | ○ | ||
○ | B0839 | 체육의생리적기초교육 | 2 | ○ | ○ | ||
○ | B0840 | 트레이닝지도법 | 2 | ||||
○ | B0842 | 체육평가측정 | 2 | ○ | ○ | ||
○ | B0967 | 사회체육학특강 | 2 | ||||
○ | B0969 | 스포츠영양학특강 | 2 | ||||
○ | B1531 | 체육철학세미나 | 2 | ○ | ○ | ○ | |
○ | B1327 | 체육경영교육 | 2 | ||||
○ | B1328 | 체육사교육 | 2 | ||||
○ | B1334 | 코칭교육 | 2 | ||||
○ | B1487 | 체육교재연구및지도법 | 2 | ||||
○ | B1488 | 체육교육론 | 2 | ||||
○ | B1489 | 체육논리및논술 | 2 | ||||
○ | B1490 | 운동실기 | 2 | ||||
○ | B1491 | 무용교육 | 2 | ||||
○ | B1492 | 특수체육 | 2 | ||||
○ | B1493 | 여가레크리에이션 | 2 | ||||
○ | B1494 | 건강교육 | 2 | ○ | ○ | ||
○ | B1512 | 체육학연구방법론 | 2 |
교과목 개요
-
- B0336 스포츠사회학특강 (Advanced Sports Sociology)
- 혁신적 진보, 전통 질서의 유지라고 하는 복잡한 사회 속에 스포츠를 사회학의 입장으로부터 연구하는 필요성, 연구의 영역과 방법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 B0346 발육발달론특강 (Advanced Theory of Growth and Development)
- 유아기, 아동기, 청년기, 장년기에 이르기까지 연령 증가에 따른 신체적 발육ㆍ발달과 운동능력의 발달을 이해하고, 발육발달에 따른 건강 지도와 운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B0837 체육의심리적지도법 (Psychological Teaching Methods in Physical Education)
- 체육의 심리학적 지도법에 근거한 제반 이론들과 개념들을 검토하기 위한 과목으로 학문분야로서의 체육심리학적인 지도법에 대한 이해와 주요 관심사 및 현황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
-
- B0838 체육의운동역학적평가 (Biomechanical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 운동역학 분야의 제반 이론들과 개념들을 검토하기 위한 과목으로 학문분야로서의 체육의 운동역학적 평가에 대한 이해와 주요 관심사 및 현황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
-
- B0839 체육의생리적기초교육 (Physiological Basic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
- 단일 또는 일련의 반복신체 운동에서 수반되는 생리반응과 적응에 관한 연구를 위해서 체육 생리적인 측면에서의 기초교육에 대하여 연구한다.
-
- B0840 트레이닝지도법 (Teaching Methods in Training)
- 일반인의 건강향상 및 운동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트레이닝 방법과 관련된 최근이론, 정보 및 연구동향 등에 대한 강의로, 최신 트레이닝 방법론의 이해 및 동향 파악에 기여할 수 있다.
-
- B0842 체육평가측정 (Methods of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 체육수업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측정과 평가의 제반 이론들을 이해하고, 현재 이용되는 최신 체육측정 기자재와 연구 논문에서 다루어지는 다양한 연구영역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B0967 사회체육학특강 (Advanced Topics in Social Physical Education)
- 현대 사회에서 사회체육학의 필요성에 대한 제반 이론적 개념을 살펴본다. 특히 국내와 선진국가의 사회체육 형태에 관한 관심 및 현황에 따른 이해를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 B0969 스포츠영양학특강 (Advanced Sport Nutrition)
- 신체활동을 수행하는 개인에게 적합한 식이방법과 운동 수행시 인체의 대사과정을 연구함으로서 각 종목 운동선수들의 기록향상과 일반인들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모색하는 분야이다.
-
- B1531 체육철학세미나 (Seminar in Sport Philosophy)
- 체육의 본질 탐구는 물론 새로운 개념을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체육의 고전적 개념과 현대적 개념을 비교분석, 그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사유하는, 체육 원리적 연구법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 B1327 체육경영교육 (Teaching Management of Physical Education)
- 스포츠 경영학 분야의 제반 이론들과 개념들을 검토하기 위한 과목으로 스포츠 경영학에 대한 이해와 주요 관심사 및 현황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
- B1328 체육사교육 (Teaching 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 체육의 발생과 발달을 검토함으로써, 현대 스포츠로서 발전되기까지의 과정을 이해하고 현대 체육의 미래 방향을 제시한다.
-
- B1334 코칭교육 (Teaching Coaching)
- 코칭의 개념, 심리적, 사회적 역할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과 선수들의 특징(체력, 운동종목별, 성별)과 운동기능 향상을 위한 지도평가방법, 트레이닝 방법들의 이론을 정립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 B1487 체육교재연구및지도법 (Subject Specialization & Teaching Methods in Physical)
- 체육의 목적 및 목표를 이해하여 체육교재와 지도방법을 검토하고 지도계획을 입안하여 학습의욕의 증진과 연습의 방법 및 조건을 규명하는 동시에 학습지도의 원리와 방법을 연구하여 체육을 효율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효과적인 수업활동을 계획하고 전개하기 위해서는 체육학습의 일반적인 원리와 이 원리를 충족시키기 위한 교수활동의 구체적 방법을 습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교수활동 중에 응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학습의 일반적인 원리를 제시하고 체육과목의 특수성에 맞는 지도방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
- B1488 체육교육론 (Theory of Physical Education)
- 학습이론모형을 기초로 체육교수의 개념정립, 각종 모형의 논의, 교수집단에 관한 접근 등을 논의함으로써 그것을 체육 현장이나 교실에 어떻게 연관시킬 것인가를 토의ㆍ분석하며, 최근에 발전되고 있는 체육교수공학의 주요개념을 검토하고 교수론의 다양한 전략을 탐구한다. 또한 교수ㆍ학습이론에 대한 여러 가지 이론들을 체육학습과 연관시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실제 체육교육의 현장에서 학생들의 지적 수준, 발육ㆍ발달단계에 따라 적합한 학습지도를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 B1489 체육논리및논술 (Principles of Physical Education)
- 체육교육에서 제기되는 주요한 논제에 용한 체육교육이론을 제안하여 그에 기초한 논리적으로 타당하고 설득력 있는 주장을 전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학생들은 소개된 글쓰기 방안을 적용한 논술을 연습한다. 논술 연습에 이은 토론을 통해 서로의 논술 결과를 논술 스타일과 논술 내용 측면에서 발표하고 토의하면서 글쓰기 능력을 개발하고 수학교육현상에 대한 심화된 관점을 개발한다.
-
- B1490 운동실기 (Exercise Practice)
- 운동학습 이론모형을 기초로 중ㆍ고등학교 교육과정에 해당되는 체조, 육상, 구기, 수영, 단체운동, 개인운동, 야외활동 등에 대한 기초능력과 게임지도력, 간이게임운영 능력 등을 익혀 실제 체육수업의 운영능력과 수행평가에 대한 지도력 습득을 목적으로 한다. 수업 운영 시에 유발되는 각종 사항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실기능력이 뛰어난 학생과 부진한 학생간의 조화로운 팀 구성, 혼성학급에서의 실기지도 시 유의사항 등에 대하여 학습함으로 인해 학생들의 움직임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남녀학생이 함께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적극적인 수업분위기를 만들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학생이 코치나 심판 등이 되어 보는 역할 놀이 등을 도입하여 계획적이고 포괄적인 수업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수업운영 능력을 배양한다.
-
- B1491 무용교육 (Teaching Dancing)
- 무용학습은 창의적인 신체활동을 통하여 학습자의신체적 발달뿐만 아니라 지적 발달, 사회ㆍ정서적 발달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무용교육의 목적을 교육적 이념이나 원리 등에 관계된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의미를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규명함과 동시에 무용학습 지도의 원리와 방법을 연구하여 무용을 효율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며 한국무용의 기본 step, 기본동작, 작품 구성방법, 작품 응용과 외국의 다양한 민속무용과 무용동작을 이용한 창작 수업 발표 등을 익혀 움직임과 리듬감, 공간감각, 표현능력, 창의력을 습득하고 학교현장 수업에서 응용할 수 있는 지도력을 기른다.
-
- B1492 특수체육 (Physical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 특수 체육교육은 장애학생이 주의 깊게 계획된 규칙적이고 특별한 체육 및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통하여 신체적ㆍ정신적ㆍ사회적ㆍ정서적 성장을 성취하도록 원조하는 것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체육, 스포츠는 일반인에서와 같이 신체적ㆍ정신적ㆍ사회적 발달에 중요하며 더욱이 치료의 수단으로써 대단히 중요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특히 개별화 교육 계호기은 특수체육의 성패를 좌우할 만큼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장애자 개개인의 기능적 특성에 맞게 체육목표와 목적을 설정하고 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체육프로그램계획을 입안하여 실행할 수 있는 방법들을 연구한다.
-
- B1493 여가레크리에이션 (Studies of Leisure and Recreation Education)
- 레크리에이션은 인간생활에 필요한 학문과 문화의 한 형태가 되고 있으며, 21세기에 있어서 그 역할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레크리에이션과 여가의 본질을 철학적 배경을 갖고 이해함으로써 청소년의 올바른 가치관 형성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레크리에이션과 레저에 대한 개념, 목적 및 방법을 연구하여 올바른 여가선용을 할 수 있는 지도요령을 습득케 하며, 레저 행동조사 연구와 관련된 문헌, 자료, 연구 성과를 발표, 토의한다. 즉, 여가활동을 제공하는 공급적인 측면과 이를 이용하는 수요적인 측면을 포괄적으로 연구한다.
-
- B1494 건강교육 (Teaching Health Education)
- 건강교육은 성장발육이 왕성한 청소년기로부터 노년기를 거치는 과정에서 일생동안 건강에 관한 지식ㆍ습관ㆍ태도를 건전하게 유지하여 개인의 건강 및 공중의 보건을 더욱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예방의학적 차원에서 그 중요성과 가치가 있다. 이 강좌에서는 건강의 개념과 질병, 한국인의 건강수준 평가, 중등학교 학생들의 체력과 신체훈련, 성인병과 운동, 발육발달과 노화에 관한 여러 이론과 방법들을 습득하고, 죽음에 대한 생의학적 개념과 죽음의 과정 등 죽음에 대한 견해를 올바르게 인식하여 건강관련 카운슬러로서의 능력을 배양한다.
-
- B1512 체육학연구방법론 (Research Methodology for Physical Education)
- 체육학의 인문분야 및 자연분야의 연구논문 작성방법과 연구비지원신청서 작성방법을 다루기 위한 것으로, 석사과정 재학생들이 전공과 관계없이 반드시 익혀야할 내용들을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