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목적
- 영어교육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현장에 창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영어교육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목표
- 영어교수 및 학습 이론에 근거한 영어교육방법론을 이해하고 실현할 수 있는 교사의 자질을 함양시킨다.
-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자세로 다양한 학습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킨다.
- 국제화, 정보화 시대가 요구하는 교수법을 개발하고 연구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킨다.
교수진
성명 | 전공분야 | 연락처 |
---|---|---|
전공책임교수 김기태 | 영어교육 | 580-5072 |
계정민 | 영미소설 | 580-5086 |
이필환 | 영어사ㆍ의미론 | 580-5093 |
김신혜(현 교육대학원장) | 영어교육 | 580-5125 |
김지현 | 영어교육 | 580-5136 |
박혜선 | 응용언어학 | 580-5091 |
윤원희 | 음성학 | 580-5134 |
황병훈 | 영국시 | 580-5092 |
구경연 | 영어교육 | 580-5474 |
교육과정
구분 | 과목번호 | 과목명 | 학점 | 필수 2009학년도 2학기 입학부터 적용 |
기본이수과목 | |||
---|---|---|---|---|---|---|---|---|
교과 교육 |
교과 내용 |
2008 학년도 입학자 까지 |
2009 학년도 입학자 부터 |
2013 학년도 입학자 부터 |
||||
○ | B1700 | 말하기ㆍ듣기교육 | 2 | ○ | ○ | ○ | ||
○ | B0038 | 영미문화사교육 | 2 | ○ | ○ | ~2017-1 | ||
○ | B1701 | 비판적사고를위한글읽기 | 2 | ○ | ○ | |||
○ | B0043 | 영어교육평가 | 2 | |||||
○ | B0046 | 영미소설교육 | 2 | |||||
○ | B0047 | 영미시교육 | 2 | |||||
○ | B0054 | 영어교육특강 | 2 | ○ | ○ | ○ 2021-2-부터 필수 해제 |
||
○ | B0055 | 초등영어교육 | 2 | |||||
○ | B0704 | 영문학교육특강 | 2 | ○ | ○ | ○ | ||
○ | B1702 | 읽기ㆍ쓰기교육 | 2 | ○ | ○ | ○ | ||
○ | B1130 | 영어발음지도 | 2 | ○ | ||||
○ | B1132 | 영미드라마교육 | 2 | |||||
○ | B1133 | 영문법교육 | 2 | ○ | ○ | ○ 2021-2-제외 |
||
○ | B1448 | 영어교재연구및지도법 | 2 | |||||
○ | B1449 | 영어교육론 | 2 | |||||
○ | B1450 | 영어교육논술 | 2 | |||||
○ | B1610 | 영어교육연구의이해 | 2 | ~2017-1 | ||||
○ | B1515 | 교사를위한언어학 | 2 | ○ | ||||
○ | B1703 | 영어와사회 | 2 | |||||
○ | B1517 | 심리언어학 | 2 | |||||
○ | B1518 | 교사를위한담화분석 | 2 | |||||
○ | B1519 | 화용론 | 2 | |||||
○ | B1520 | 제2언어습득론 | 2 | |||||
○ | B1521 | 언어습득이론과영어교육 | 2 | |||||
○ | B1832 | 멀티미디어영어교육론 | 2 | O 2021-2-추가 |
||||
○ | B1523 | 영어교육교과과정연구 | 2 | |||||
○ | B1704 | 영어의의미와사용의이해 | 2 | O 2021-2-추가 |
||||
○ | B1705 | 교실영어와수업연습 | 2 | |||||
○ | B1809 | 영어교사를위한문법 | 2 | O 2021-2-추가 |
||||
○ | B1810 | 실용영어 | 2 | |||||
○ | B1811 | 강독교육 | 2 | O 2021-2-추가 |
||||
O | B1833 | 영어문법교육 | O 2021-2-추가 |
교과목 개요
-
- B1700 말하기ㆍ듣기교육 (Teaching Speaking & Listening)
- 영어 말하기 듣기지도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말하기 듣기 지도의 방법을 학습하고 지도 방법을 계획하고 자료를 만들어 봄으로써 실질적인 교수학습을 경험할 수 있다. 더불어 한국에서의 영어교육이라는 특수성에 맡는 지도방법을 같이 학습한다.
-
- B0038 영미문화사교육 (Teaching Anglo-American Cultural History)
- 이 과목에서는 고전(그리스,로마) 문화-중세교회문화-문예부흥기문화-영국교회와 청교도문화-계몽주의와 민주주의-산업혁명과 세계대전들을 거치는 동안 여러 가지 형태로 옷을 갈아입은 영국의 신화들을 살피고, 청교도들의 이주를 시작으로 하여 전개된 식민사회-독립투쟁-영토 확장과 개척-산업구조의 변화와 남북갈등-자본주의 산업사회와 경제 대공황-세계대전을 거치는 동안에 명멸한 미국의 꿈들을 살핀다.(2017학년도 1학기 입학생까지)
-
- B1701 비판적사고를위한글읽기 (Critical Reading & Reflection)
- 다양한 분야의 영어 글들을 읽는데 필요한 효과적인 독해 방법을 학습한다. 더불어 내용의 논리적 전개 이해와 주 내용의 논리적 요약 등을 쓰기, 토론을 통해 연습한다.
-
- B0043 영어교육평가 (Evaluation in English Education)
- 영어능력평가에 관한 다양한 이론들을 학습하고 좋은 평가도구가 지녀야할 특징들을 살펴본다. 4가지 언어능력을 측정하는 여러 가지 평가유형들을 접해보고, 제 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준별 교수학습과 열린 교실에 알맞은 수행평가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나아가 중등영어교사로서 우리영어교육현실에 적합하고 바람직한 영어능력평가방안에 대해 생각해 보고, 직접 평가도구를 개발, 실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데 수업의 초점을 둔다.
-
- B0046 영미소설교육 (Teaching English Novel)
- 영어를 효율적 이해하고 습득하기 위해서는 영어로 쓰여진 문학작품을 많이 읽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특히 영어소설을 많이 읽음으로써 작품 속에서 영어 서술 및 영어 대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가질 수 있다. 이 강좌에서는 영어소설을 감상 비평하는 방법을 이해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여 영어를 교육하는 방법에 관한 이론을 이해하고 강의 실습을 행한다.
-
- B0047 영미시교육 (Teaching English Poem)
- 영시의 진정한 이해를 위해서 영시가 포함하고 있는 여러 가지 시적 요소, 종류, 시의 용어, 운율의 성격을 분석함으로써 영시의 전반에 걸친 기초적인 내용을 고찰하여 영시 교육에 활용코자 한다.
-
- B0054 영어교육특강 (Special Topics in English Teaching)
- 이 과정에서는 언어학, 심리학, 교육학 등의 분야에서 새롭게 대두된 이론이나 방법론 등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논의한다. 특히 인지심리학과 담화분석에 강조점을 둔다. 학제적인 관점에 접근함으로써 영어교육 이론이나 방법을 총체적이고 거시적인 안목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
- B0055 초등영어교육 (Teaching Elementary School English)
- 조기 영어교육에 관련된 언어학습 이론들을 이해하고 이에 근거하여 효과적인 초등영어 교육에 필요한 학습활동들을 고안하고 연습해 본다.
-
- B0704 영문학교육특강 (Special Topics in Teaching English Literature)
- 본 과목에서는 영문학 전반의 시대적 배경과 대표작품, 주요 저자들을 중심으로 한 영문학 교육의 효율적인 방법론을 모색하고 외국문학으로서의 한국 영문학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기존의 영문학 주요 작가 및 작품 목록에 대한 재 고찰을 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각 장르별로 모델 작품을 선택하여 수업 시간에 소개되는 다양한 문학 교육 방법론을 클래스에 실제로 적용, 실험하는 기회를 가진다.
-
- B1702 읽기ㆍ쓰기교육 (Teaching Reading & Writing)
- 영어 읽기 쓰기 과정 및 지도에 관한 이론과 실제 사용되는 교수법을 학습한다. 이를 바탕으로 중등 영어 학습에 사용 할 수 있는 지도 방법을 연구, 논의하고 모의 수업을 통해 지도법을 연습해 본다.
-
- B1130 영어발음지도 (Teaching English Pronunciation)
- 이 과정에서는 영어의 말소리의 체계와 한국어의 말소리 체계를 비교하여, 각 분절음들의 조음음성학적 특성과 음향음성학적 특성들을 비교 분석한다. 특히 영어의 말소리 체계에서, 실제 발화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음운 변동을 분절음, 강세, 억양, 리듬 등의 관점에서 분석ㆍ연구한다.
-
- B1132 영미드라마교육 (Teaching English Drama)
- 가장 효율적인 영어 교수법 중 하나가 역할극을 비롯한 드라마를 통한 영어 교수법이다. 또한 영미 드라마라는 문학 장르에 대한 교육은 영어와 영어권 문화에 대한 이해를 함양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교과목은 영미 드라마를 텍스트로 하여 다양한 영어 교수법뿐 아니라, 영미 드라마 작품 분석을 통해 드라마라는 장르의 이해와 드라마를 가르치는 교수법도 탐구한다.
-
- B1133 영문법교육 (Teaching English Grammar)
- 이 과목은 영문법에 대한 기초를 다지고 실용적으로 잘 활용하고 교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말과 구조적으로 큰 차이가 있는 영어를 공부하는데 있어 그 구조적인 차이를 알지 못하면 영어로 말하기와 듣기, 혹은 쓰기와 심지어는 읽기조차 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과목에서는 문법을 위한 문법이 아니라 영어의 네 가지 영역, 즉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에 대한 기초로서의 영문법을 공부하게 된다.
-
- B1448 영어교재연구및지도법 (English Teaching Methods)
- 영어교수법에 관한 이론을 바탕으로 교과과정 및 교재를 이해하고 실제 수업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목표를 둔다. 기존의 교수법을 활용하여 학습자 중심, 의사소통 중심적인 수업능력을 향상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둔다.
-
- B1449 영어교육론 (Theories in Teaching English)
- 영어교육 전반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을 다루는 과목으로 제 2언어 습득이론, 학습이론, 영어교육 분야의 중요한 주제들을 다룬다. 영어교육에 관한 기본이해를 돕는 동시에 교사로서 알아야 할 이론적인 흐름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둔다.
-
- B1450 영어교육논술 (Advanced Writing for English Teachers)
- 영어교육론의 주요한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어교육 주제에 관련된 글을 논리적으로 쓸 수 있는 글쓰기 능력을 향상하도록 한다. 영어 및 한국어 글쓰기의 차이를 이해하고 학문적인 글쓰기의 기본을 다지도록 한다.
-
- B1610 영어교육연구의이해 (Conducting Research in English Education)
- 이 과목은 영어교육연구에 필요한 질적, 양적 연구의 학습과 연습의 기회를 제공한다. 주 연구방법인 실험연구분석(experimental), 관찰분석(descriptive), 자아관찰분석(introspective) 등에 대한 학습과 논의를 다룬다.(2017학년도 1학기 입학생가지)
-
- B1515 교사를위한언어학 (Linguistics for English Teachers)
- 이 과목은 교사로서 꼭 필요한 영어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간의 언어 습득, 발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음운론(phonology), 형태론(morphology), 통사론(syntax), 의미론(semantics), 화용론(pragmatics)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의 습득을 주 내용으로 포함한다.
-
- B1703 영어와사회 (Sociolinguistics)
- 이 과목은 서로 다른 문화에서 일어 날 수 있는 화용적 차이, 사회적인 상호관계에서의 언어사용의 차이, 언어 사용 계획 등을 다룬다. 또 음성언어와 문자언어 담화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방법을 배우고 활용해본다. 영어 학습과 영어 수업에서의 이용 방안을 논의하고 활용해본다.
-
- B1517 심리언어학 (Psycholinguistics)
- 이 과목은 심리언어학의 기본적인 학습과 이해를 목표로 한다. 인지심리(cognitive psychology), 언어처리(language processing), 언어의 지식, 언어와 두뇌(neurolinguistics) 등에 대한 이론, 실증자료 등을 토대로 하여 논의가 이루어진다.
-
- B1518 교사를위한담화분석 (Discourse Analysis for English Teachers)
- 이 과목에서는 음성언어와 문자언어 담화(spoken and written discourse) 분석에 필요한 다양한 방법을 배우고 활용해본다. 영어학습과 영어수업에서의 이용방안을 공부하고 활용해본다.
-
- B1519 화용론 (Interlanguage Pragmatics)
- 이 과목을 통해 언어사용자가 말하는 의미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진다. 사회적인 상호작용 속에서 언어를 사용할 때 직면하는 제약, 언어사용이 의사소통의 행위 속에서 다른 참여자들에게 미치는 효과를 학습하고 논의를 도모한다. 실제 영어교습에서의 화용론 학습의 중요성과 활용성에 대해 논의해 본다.
-
- B1520 제2언어습득론 (Theor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 이 과목은 제 2언어 습득에 관련한 다양한 이론과 접근 방식 학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언어습득에 대한 이해는 효과적인 학습 방법 추구와 학생의 언어학습과정을 이해하는 기본이 됨을 숙지한다. 언어습득 이론의 교습에서의 활용성에 대해 논의하고 그 방법을 알아본다.
-
- B1521 언어습득이론과영어교육 (SAL in the Classroom)
- 이 과목은 언어습득이론의 교실에서의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두 분야의 연결을 목적으로 한다. 언어습득이론의 연구가 실질적으로 어떻게 교실에서 활용될 수 있는지 논의하고 연습해본다.
-
- B1832 멀티미디어영어교육론 (Mulitimedia-Enhanced English Education)
-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또는 증강현실(AR) 등의 최근에 관심을 받고 있는 다양한 온라인 학습 도구들을 살펴보고 영어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학습해 보고자 한다.
-
- B1523 영어교육교과과정연구 (English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 영어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기본지식의 학습과 이해를 다루는 과목이다. 영어교과과정 이론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교과과정 및 교재의 이해를 도모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영어교과과정에 대한 이해를 쌓고 논의, 분석해본다.
-
- B1704 영어의의미와사용의이해 (Semantics and Pragmatics)
- 이 과목은 영어 자체의 의미와 언어사용자가 말하는 의미에 대한 학습한다. 전자의 경우, 어휘 단계, 문장 단계 등의 문법 층위로서의 의미를 고찰한다. 후자의 경우, 사회적인 상호작용 속에서 언어를 사용할 때 직면하는 제약, 언어사용이 의사소통의 행위 속에서 다른 참여자들에게 미치는 효과 등을 학습하고 논의한다.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중요성과 활용성에 대해서도 논의해 본다.
-
- B1705 교실영어와수업연습 (English Teaching Practice)
- 현장에 대한 이해와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보다 집중적으로 교실수업에 필요한 전문지식을 배우고 연습한다.
-
- B1809 영어교사를 위한 문법 (English Grammar for Teachers)
- 본 교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영어교사가 효과적인 영문법 수업을 제공하기 위해 갖춰야 하는 기본적이고 중요한 영문법을 학습할 수 있다.
-
- B1810 실용영어 (Practical English)
- 기본적인 영어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해 영어의 다양한 표현법과 영어로의 의사소통 전략들을 학습하고 적용해본다.
-
- B1811 강독교육 (Education in Reading)<
- 영어 읽기 교육과 관련된 이론을 이해하고 실제 중고등학교 영어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읽기 과업을 분석하고 실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읽기 전략들을 바탕으로 읽기 수업 설계를 해 본다.
-
- B1833 영어문법교육 (Teaching English Grammar)
- 문법을 위한 문법이 아니라 영어의 네 가지 영역, 즉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에 대한 기초로서의 영어문법을 공부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