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목적
- 간호이론과 간호 실무에 탁월한 지식과 지도자적 인격을 지닌 간호교육전문가를 양성한다.
교육목표
- 간호전문지식과 기술을 간호교육에 창의적으로 적용한다.
- 간호교육 현장에서 대상자의 전인적 발달을 지도한다.
- 개인과 지역사회의 건강유지, 증진을 위하여 솔선수범하는 지도력을 발휘한다.
- 국제사회변화에 대응하는 간호교육자로서의 능력을 갖춘다.
교수진
성명 | 전공분야 | 연락처 |
---|---|---|
전공책임교수 박희옥 | 노인간호학 | 258-7655 |
강민경 | 성인간호학 | 258-7657 |
김가은 | 아동간호학 | 258-7658 |
김나현 | 기초간호과학 | 258-7654 |
김덕임 | 해부학 | 258-7659 |
김상희 | 성인관리학 | 258-7671 |
임경희 | 중앙간호학/성인간호학/간호통계학 | 258-7664 |
김혜영 | 모성간호학/여성건강간호학 | 258-7661 |
문경자 | 성인간호학 | 258-7662 |
박희옥 | 노인간호학 | 258-7655 |
손순영 | 아동간호학 | 258-7651 |
이병숙 | 간호관리학 | 258-7656 |
이수경 | 간호관리/의료및간호정보 | 258-7665 |
이은숙 | 지역사회간호학 | 258-7666 |
이은주 | 성인간호학 | 258-7667 |
이주미 | 간호학 | 258-7660 |
전상은 | 기초간호과학/유전간호/종양간호 | 258-7653 |
전원희 | 정신간호학 | 258-7669 |
최종림 | 기본간호학/감염관리 | 258-7672 |
Ivy LynneAlcazar | 아동간호학/ 모성간호학 | 258-7670 |
교육과정
구분 | 과목번호 | 과목명 | 학점 | 필수 (2009학년도 2학기 입학부터 적용) |
기본이수과목 | ||
---|---|---|---|---|---|---|---|
교과 교육 |
교과 내용 |
2008학년도 입학자까지 |
2009학년도 입학자부터 |
||||
○ | B0615 | 간호이론 | 2 | ○ | |||
○ | B0619 | 간호문제및쟁점 | 2 | ||||
○ | B0762 | 가족간호이론 | 2 | ||||
○ | B0876 | 아동간호교육 | 2 | ||||
○ | B0957 | 임상생리학 | 2 | ||||
○ | B1242 | 간호교육연구 | 2 | ○ | |||
○ | B1243 | 간호교육통계 | 2 | ||||
○ | B1247 | 학교보건교육 | 2 | ||||
○ | B1249 | 응급간호교육 | 2 | ||||
○ | B1536 | 간호지도자론 | 2 | ||||
○ | B1537 | 의료및간호정보교육 | 2 | ||||
○ | B1538 | 노인간호교육 | 2 | ||||
○ | B1539 | 임상약리학 | 2 | ||||
○ | B1540 | 건강교육프로그램개발 | 2 | ||||
○ | B1541 | 여성건강교육 | 2 | ||||
○ | B1542 | 정신건강교육 | 2 | ||||
○ | B1543 | 간호교육 | 2 | ||||
○ | B1544 | 간호학교육과정연구 | 2 | ||||
○ | B1824 | 인적자원개발교육 | 2 |
교과목 개요
-
- B0615 간호이론 (Nursing Theory)
- 간호학의 특성과 간호이론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주요 간호이론과 이론가들에 대해 학습하고 간호이론에 대한 비평적 평가를 통해 간호이론을 간호 실무에 적용하는 능력을 준비한다.
-
- B0619 간호문제및쟁점 (Nursing Problem and Issues)
- 본 교과목은 급변하는 정치, 사회, 문화 속에서 간호전문직이 당면하는 간호실무, 간호교육, 간호행정, 간호창업 혹은 간호를 넘어서는 다양한 문제와 쟁점들을 발굴하여 새로운 시각으로 조망해 보고 발전적 방안 모색을 시도한다.
-
- B0762 가족간호이론 (Theories of Family Health Nursing)
- 본 교과목은 최신 가족간호이론을 학습하고 가족 간호진단, 가족 간호중재, 가족간호과정을 적용하여 대상자들의 적정기능수준 향상을 도모하는 전략을 논의하며 나아가서는 가족간호 연구과제 및 동향을 심도 있게 분석, 연구하여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가족간호이론을 구축한다.
-
- B0876 아동간호교육 (Child Care Nursing and Education)
- 본 교과목을 이수하는 학생들은 아동간호교육에 관한 기본 원리, 주요개념, 최신 경향과 이슈들에 대해 폭넓은 이해를 갖추며, 다양한 교육기법과 평가법을 배우는 기회를 갖고, 이를 질병을 가진 특정 환아와 가족에게 적용하는 법을 배울 것이다.
-
- B0957 임상생리학 (Clinical Physiology)
- 본 교과목은 건강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나타나는 인체 반응을 원인, 발생기전, 관련요인 및 증상을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이 병태생리학적 지식을 임상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
- B1242 간호교육연구 (Research in Nursing Education)
- 본 교과목은 간호연구방법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다루는 과목으로 학생들은 연구 윤리의식, 비판적 사고, 연구문제, 문헌고찰 방법, 연구 설계 및 가설검증 등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연구수행능력을 증진시키고 근거중심 연구결과를 실무에 적용할 수 있다.
-
- B1243 간호교육통계 (Statistics in Nursing Education)
- 본 과목을 통해서 통계에 사용되는 주요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간호연구에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통계기법을 배우고 그 결과를 해석할 수 있다.
-
- B1247 학교보건교육 (School Health Education)
- 최신 지역사회 보건이론 및 간호이론을 학습하고, 그 이론을 바탕으로 지역사회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개인, 가족, 집단 및 지역사회 대상자들의 건강증진을 도모하는 전략을 논의하고 실습하며 지역사회 간호영역의 최신연구 과제를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역사회 간호이론을 도출한다.
-
- B1249 응급간호교육 (Education for Emergency Nursing)
- 본 교과목은 병원과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응급상황에서 간호사, 보건교사, 산업 간호사등이 효과적으로 응급환자를 간호 및 관리 할 수 있도록 역할수행능력 개발에 중점을 둔다. 또한 병원 전 응급대상자의 사정과 신속한 응급처치(외상 및 내과적 응급처치), 특히 외상관리에 중점을 두며 그 외 심리적, 환경적 예방을 위해 간호사의 역할(실무 및 교육자)과 책임에 필요한 지식과 간호술을 포함한다.
-
- B1536 간호지도자론 (Leadership in Nursing)
- 본 교과목에서는 교육 및 임상실무 현장에서 간호전문가로서 리더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리더십과 관리 기법의 이론적 배경과 실제적 기술을 다룰 뿐만 아니라, 현장의 행정적 이슈를 파악하고 그 해결책을 모색해 본다. 본 교과목을 통해 수강생은 간호전문가의 윤리적 책임, 리더십, 동기부여, 자기주장, 갈등관리, 시간관리, 조직문화, 조직혁신 등을 학습한다.
-
- B1537 의료및간호정보교육 (Education of Medical and Nursing Information)
- 본 과목에서는 학생들의 정보역량 강화를 위해 의료 및 간호 정보학의 정의와 기본 개념을 탐험하고, 간호실무, 간호행정, 간호연구, 간호교육에서 적용을 학습한다. 특히, 이 과목에서는 현재의 간호교육(간호학생/간호사) 및 대상자 교육에 사용되고 있는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ies)들에 대하여 다룬다.
-
- B1538 노인간호교육 (Education on Gerontological Nursing)
- 본 교과목은 노인 대상의 간호문제를 교육하기 위한 기초지식을 개발하기 위해 노인의 개념을 이해하고, 노화과정에 따른 신체적, 심리사회적, 문화적, 영적 건강문제를 파악함으로서 양질의 노인간호를 제공하고 교육하기 위함이다.
-
- B1539 임상약리학 (Clinical Pharmacology)
- 약리학은 약물이 생체 내에 투여되었을 때 그 약물로 인하여 일어나는 생체현상의 변화를 연구하고, 나아가서 질병의 진단, 치료 및 예방을 위하여 합리적으로 약물을 응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이다. 본 강좌는 약물요법에 관한 핵심적 약물지식과 그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상자 측면의 핵심변수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여, 최상의 약물요법의 효과를 위한 간호중재를 제공 할 수 있는 전문지식을 준비한다.
-
- B1540 건강교육프로그램개발 (Development of health education program)
- 본 교과목은 대상자의 건강증진과 건강행위를 유지하기 위한 중재전략으로서의 건강교육을 논의하는 과목이다. 학생은 본 교과를 통하여 건강교육의 및 관련이론을 이해하고, 건강교육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논의하며, 대상자의 건강요구를 파악하여 건강교육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
- B1541 여성건강교육 (Women's health care & Education)
- 본 교과목은 여성의 생의 주기동안 가정과 사회환경 내에서 여성이 지각하고 경험하는 건강문제를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도출되는 여성건강에 대한 쟁점을 논의함으로써 여성건강에 대한 간호연구 능력을 기른다.
-
- B1542 정신건강교육 (Education for mental health)
- 본 교과목은 정상 행동과 이상행동을 판단하여 구별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대상자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정신간호 실무를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
- B1543 간호교육 (Nursing Education)
- 본 교과목을 통해 학생은 간호교육의 전체적인 체제를 이해하고, 간호교육 발전을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 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을 것이다. 간호교육의 기초, 탁월성 교육의 철학적 기초, 간호교육의 예술과 과학성을 기반으로 하여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매체, 교육평가의 측면에서 현황과 강점, 약점을 파악하고 향후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실제 간호학 교안을 작성하여 교육실습을 실시한다. 학습성과 중심 교육과정 운영과 간호학과 인증평가를 준비할 수 있다.
-
- B1544 간호학교육과정연구 (Study on the curriculum of nursing education)
-
본 교과목을 통해 학생은 간호학 교수의 역할과 간호교육의 전체 틀을 이해하고, 틀 안에서 졸업 후 현장 실무교육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교육과정 설계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학습성과 기반 간호학 교육과정 구성을 할 수 있으며, 교수학습이론에 근거하여 효율적인 수업방법으로 강의법, 능동학습, 실습교육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현장 실무교육안을 작성하고 간호교육 관련 연구를 계획할 수 있다.
-
- B1824 인적자원개발교육(Human Resource Development Education)
- 인간자원개발(HRD)의 개념과 특성 등의 이론을 탐색하고, 인적 자원의 교육, 훈련, 역량개발, 경력개발과 관련된 실제 현장 사례를 연구한다.